앱 개발 외주시 합리적인 기간과 견적가를 구하는 방법
2016.10.01. 15:35

앱 개발 외주시 합리적인 기간과 견적가를 구하는 방법

2016.10.01. 15:35

URL 복사

○○앱을 개발하려는데 견적가는 얼마이고 기간은   걸릴까요?
고객들이 많이 문의하는 내용입니다. 
답변은 매번 드리지만 뭔가 아쉬운 구석이 많았습니다
이에 합리적으로 앱개발 견적가와 기간을 구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간단한 앱이든 기능이 많이 들어간 복잡한 앱서비스든 
요구사항 분석 -> 분석을 토대로 설계사항 정립 -> 설계안 대로 앱디자인  앱개발 구현 -> 테스트  성능 극대화의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절차를 거쳐야 하는 이유는  서비스를 구상하고 의뢰를 하신 분이 처음부터 끝까지 참여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아무리 유능한 개발자나 디자이너도 기획서나 기능정의서 등과 같은 설계도면 만으로는  구상자의 생각을 정확하게 구현해 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제대로  개발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양사가 함께 하며 머리를 맞대고 문제를 해결해야 가야 합니다


그러나  대면부터 무작정 계약을 전제로 문의를   없기 때문에 러프한 방식과   합리적인 견적과 기간을 산정하는 방법을 구분지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러프한 견적가를 산출하는 방법



핵심 기능 내지는 유사한 앱서비스를 살펴보면 어느정도 러프한 견적가를 산출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카닥과 같은 역경매 같은 앱을 개발하고 싶다 라고 얘기를 하시면 역경매 앱서비스를 개발한 이력이 있는 개발업체나 수주사들은 대략적으로 기간과 견적을   있습니다. 이것이 러프한 가견적과 가기간입니다. 그런데 앱서비스를 요구하시는 분들이라면 기존의 서비스와 동일하게 런칭하지는 않습니다. 분명 벤치마킹 위에다 자신의 차별화 된 기능을 얹을 것입니다. 
기존 벤치마킹할 앱의 기능만으로 견적을 내기 때문에 실제 차별화 기능까지 더해지면 견적가와 개발기간은 분명 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러프한 견적가만으로 실제 계약행위나 실개발이 이루어지면 위험해지는 이유입니다. 
실 기능들을 분석하지 못했기 때문에 명확한 기능정의서를 도출못하고 투입인력도 제각각 들어가기에 
견적가나 제작기간이 들쑥날쑥 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당연 앱개발 완성도도 떨어질거는 불보듯 뻔합니다.

둘째, 합리적인 견적가를 산출하는 방법


앱개발 의뢰자나 앱개발 업체 양자가 함께 요구사항 들을 분석하며 기능을 찾아내고 나열하는 방식입니다. 



사실 저희도  방식을 가장 선호합니다. 기능이 정확하게 나열되고 난이도를 파악할 수 있다면 앱개발 기간을 산정하기가 매우 용이해지기 때문입니다. 기간에 따라 투입인력을 확정짓고 그에 맞게 견적가를 산정하니 두 말 할 필요없이 기간이나 견적가는 정확할 수 밖에 없습니다.
실제 저희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초기부터 기능정의서를 기반으로 스토리보드나 정책서와 같은 설계 도면을 함께 제작한 ○○다 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카닥과 유사한 역경매 서비스로 올 2016년도 상반기에 개발완료한 이 앱은 개발 인력2, 디자인1, 기획1 투입되어 개발기간 2 달에 ○○만원에 개발을 완료했습니다.
물론 4명의 인건비가  투입되지 않고 적절한 투입된 양에 따라 합리적인 견적가를 도출했습니다(물론 네고도 해드렸죠). 이런 방식으로 개발 기간과 견적가를 산정했기에 양사는 불필요한 불신이나 행정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었습니다. 앱 퀄러티는 상호가 만족하는 선에서 완성되었습니다. 

이상 두 가지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결국 제대로 된 견적가와 개발 기간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가견적을 여러 업체에 물어보고 발주사들의 예산상황과 개발 업체들의 신뢰도를 따져보고 양사가 공히 시간고 노력을 들여 기능을 파악하고 그에 맞게 개발기간과 견적가를 산정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식입니다.

앱개발 업체를 알아보고 견적가를 물어보시는 것부터 서비스의 첫 발을  떼는 것입니다.
늘상 걱정하고 걱정하는 것만이 첫 발을 떼고 안전하게 마지막 발을 거두는 지름길이자 유일한 길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봅니다.

개발의뢰